1st MIX - 20,November
ⓒ Konami Amusement
나구모 레오 선생께서 단 하루만에 만들어 놓고 기념삼아 자기 생일인 11월 20일을 이름으로 붙인 초대 beatmania의 보스곡이자 BEMANI 브랜드 사상 최고 히트작. 리듬 액션물 악곡 가운데 가장 널리 기억되는 작품으로 꼽히고 있으나 지금 생각해 봐도 저 작명 센스는 그저 대범함을 과시한 정도라기보다는 뻔뻔스런 배짱이란 말이 어째 더 어울릴 거 같다 -_- 인지도가 그렇게 높아진 이유도 사실 앞에서 몇 번 언급했듯 2nd MIX 3스테이지에서 선택지가 고작 이걸 포함해 세 곡밖에 없었다는 사실을 아주 무시하지는 못할 테고 (DJ BATTLE을 고르기엔 패턴이 너무 단순하고 MINIMAL TECHNO MIX는 숨겨진 곡인데다 특유의 로보틱한 분위기가 결코 쉽게 받아들여질 만한 스타일은 아니었으니 말이다...), 만들자마자 너무 어렵다는 소리가 나왔을 만큼 번갈아 치기며 연타 등 시리즈 최초로 나온 곡 치고는 화려한 패턴을 가진 난도 수준과 서구적인 이미지가 본격적으로 나타난 곡조며 보컬 등에서 우러나온 흥겨움 (사실 역대 bemani 하우스 넘버 가운데서 특히 열띤 분위기만 갖고도 손꼽을 만한 곡이긴 하다) 등 이런저런 요인이 많은 이들의 도전욕을 부추겼음에 틀림없다. 너무 유명해진 나머지 이후 다른 bemani 시리즈 하우스 장르에 절대적인 비교 대상으로 군림했던 게 영 보기 좋지 않았을 뿐더러 세포분열마냥 수많은 버전이 양산되는 걸 보면서 지나친 우려먹기에 질려 버렸기에 그리 좋은 감정만 지닌 곡이라고는 못 하겠지만, 하루만에 만들어 낸 작품치고 이만큼 오랫동안 기억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대단히 과분한 의의일 것이다 -.-
1P 플레이에서는 single mix, 2P (DP) 플레이에서는 radio edit란 부제목이 붙으며 역시 서로 곡이 달라지는데 전주가 좀 더 마음에 들기에 radio edit쪽을 선호하는 편이다. 가사 및 보컬 담당은 Chappy란 핸들을 쓰신 분 (혹시 본명이 뭔지 아시는 분은 손을 -ㄴ-)
3rd MIX에서 Attack the music과 함께 beatmania 사상 최초로 어나더 보면이란 개념을 만들어 이 뒤로 '어나더 = 기본 보면보다 한층 어려운 패턴' 이란 등식은 지금까지도 거의 변하지 않고 있다. 어나더 첫 주자답게 nagureo kidding style이란 정식 부제목이 있었고 곡도 연타가 늘어나서 미약하게나마 달라진다 (물론 radio edit 버전도 있다). completeMIX는 리믹스 버전인 hard mix를 개별적으로 만들어 넣었는데 유명한 멜로디라인이 리듬에서 곡조를 직접 치도록 변했지만 구성상 원곡보다 크게 두드러지는 부분도 없었을 뿐더러 판정이 눈에 띄게 악랄해져서 - 장르 이름이 HARD HOUSE로 바뀐 게 곡 성격보다는 판정을 가리키는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 평은 썩 좋지 못했다. completeMIX 2에서 재수록되었을 때는 어나더가 한번 더 바뀌었는데 후반부 연타가 강해졌기에 마지막까지 긴장을 늦출 수 없었던 보면이었고, 그간 꾸준히 붙여 왔던 부제목도 생략되어 있었다
CORE REMIX에서는 그만 우려먹겠다는 뜻인지 리믹스 이름이 FINAL EDIT라고 붙었다. 분위기가 일신되어 차분한 크로스오버 밴드 풍 연주를 들려주는데 리듬 액션계에서 한 시대를 주름잡은 곡의 마지막 버전이라기엔 이상할 정도로 얌전해서 그리 믿을만한 부제목이라 생각하지는 않지만 원곡에 없던 사색적인 부분은 제법 괜찮았다
많은 2nd MIX곡이 그랬듯 IIDX서도 초대부터 넘어왔었고 substream판 어나더도 만들어졌지만, 3rd style에서 삭제되었다가 6th style에 해금트랙 (...) 으로 부활하면서 보면과 악곡 구성 공히 환골탈태를 거쳤는데 보면은 거의 모든 곡조를 키음으로 직접 치게끔 바뀌어졌고 끝마무리도 OST를 따라 분명하게 되어 있으며 하이퍼 이하 보면과 어나더를 각각 single mix와 radio edit 곡조로 분리시키는 등 (난도면에서는 하이퍼가 더 어려운 드문 케이스를 따랐다. 첫 어나더를 통해 널리 굳어진 시각을 유연하게 가지라는 속뜻이었을까... DP는 SP와 반대로 하이퍼 이하가 radio edit, 어나더가 single mix 곡조다) 그간 쌓아올린 명성을 생각해서였는지 토착화에 공들인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왠지 CS GOLD 구곡으로 들어갈 것 같은 예감이 드는데 -_-a [수록 확정. 5키 모드로 어나더를 걸면 nagureo kidding style로 변하며 판정도 당시 비슷하게 엄해진다]
※ 2020/2/28 추기 작곡자가 코나미와의 마찰로 AC EMPRESS에서 제공한 곡 대부분이 삭제되었을 때 이 곡도 사라지는 운명을 피할 수 없었고, PS2 최종 이식작이었던 CS EMPRESS + PREMIUM BEST에서도 끝내 실리지 못했다. 트위터를 통해 꾸준히 소회를 밝혔던 작곡자 역시 2018년 이후 대외적으로 어떤 언급도 하지 않고 있으나, 그럼에도 '모든 음악 게임의 첫머리에서 정점에 섰던 곡' 이라는 의의를 기억하는 이들은 비공식적으로나마 계속 이 날짜를 기리고 있다 https://youtu.be/oCSO1iZg98I - 탄생 22주년 및 IIDX 20주년 기념 Hommarju 리믹스. 보컬은 모리나가 마유미 |